이미지 출처: pixabay
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
: W3(www, world wide web, 월드 와이드 웹,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이 정보공유할 수 있는 정보 공간)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요청과 응답을 위해 이루어지는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(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 메세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)이다. 주로 HTML문서를 주고 받는 데에 쓰인다. HTTP를 통해 전달되는 자료는 http:로 시작하는 URL(uniform resource locator, 웹주소,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규약, 이때 FTP는 FTP클라이언트를, HTTP인 경우에는 웹 브라우저(구글 크롬,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)를 이용해야 한다)로 조회할 수 있다.
URL이 나타내고 있는 정보 ex) ①https://②wikibook.co.kr/③webtext/④index.html
①프로토콜 ②정보자원을 가진 컴퓨터의 위치 ③자원이 있는 폴더 ④자원이름
HTML(Hyper Text Markup Language)
: 하이퍼텍스트(Hypertext, 현재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)를 마크업(Markup, 표시)하는 언어로 웹 문서를 만드는 기본 언어이다. 다만 웹 문서는 내용을 작성하는 프로그램(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와 같은 웹 편집기)에서 마크업 형식으로 작성하고, 그 내용은 웹 브라우저(마이크로소프트 엣지, 애플 사파리 등)에서 확인할 수 있다.
예전에는 HTML4에 이어 나온 새로운 추가 기능들을 가진 새로운 버전을 이전 것과 구별하기 위해 HTML5이라고 불렀으나, 현재는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HTML5를 지원하게 되면서 HTML5라고 부르지 않고, 그냥 HTML을 부르게 되었다. 고로, 현재의 HTML은 HTML5를 의미한다. HTML은 더 이상 업그레이드 되지 않을 것이라고 MDN Web Docs(이전 이름은 모질라 개발자 네트워크(Mozilla Deveoper Network)였다, 웹 표준과 모질라 프로젝트에 대한 개발 문서들이 담긴 모질라의 공식 웹사이트, HTML& CSS& JavaScript을 포함한 웹기술을 문서화하였으므로 공부를 원하면 자습서처럼 사용하면 된다)에 공표되었다.
홈페이지(Homepage, 미국에서는 웹사이트 Website라는 말로 대체됨)는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?
: HTML(뼈대) + CSS(디자인) + JS(기능)
'컴퓨터 사이언스 > TIL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론트엔드][CSS] TIL -Day8 CSS 선택자(Selectors) (0) | 2022.04.06 |
---|---|
[프론트엔트][CSS] TIL - Day 7 폰트 사이즈, 인라인 형식 vs 블록 형식 (0) | 2022.04.05 |
[프론트엔트][CSS][HTML] TIL - Day 6 수업노트 끄적임 (0) | 2022.04.04 |
[프론트엔드][CSS][HTML] TIL -Day 5.2 익숙해지면 좋은 단축키들 (0) | 2022.04.03 |
[프론트엔드][HTML] TIL -Day 5.1 수업노트 끄적임 (0) | 2022.04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