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컴퓨터 사이언스/TIL 정리

[프론트엔트][CSS] TIL - Day 7 폰트 사이즈, 인라인 형식 vs 블록 형식

by 메리뉴데이 2022. 4. 5.

<CSS 폰트 사이즈 ; px pt(절대적 사이즈) / em %(상대적 사이즈)>

▶ em은 16px이 1.0em임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낸 폰트(글꼴)의 단위이다. (※em태그 <em>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.)

 

▶ rem은 root(뿌리)의 em을 의미하며 뿌리라 함은 (최종)부모의 크기를 기준하여 나타내는 상대적인 크기이다. 그 크기가 따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rem 또한 기본값 16px이다.

 

▶ 표에서는 px(픽셀)과 em(엠), %(퍼센티지), pt(포인트)의 크기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.

 

▶일반적으로 웹에서는 px 단위를 사용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<div>는 블록 형식으로 한 줄을 다 사용해서 그 뒤에 무엇을 작성하려고 해도 작성이 안 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→  블록형 태그는,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˙크기값을 지정할 수 있다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˙한줄에 하나만 배치된다.
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 ˙상하좌우 마진 모두를 가진다.
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 ˙기본 너비값은 100%이다.
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 ˙종류; div, ul, ol, li, h, hr, form, dl, dt, dd, p, table, header, article, footer, section, nav, details, summary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enter 이 있다.

 

 

<span>은 인라인 형식으로 하나를 작성하고 나면, 그 다음 것이 자동으로 그 옆에 작성이 되어 한 줄에 여러 개가 배치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→  인라인형 태그는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˙크기값을 지정할 수 없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˙한줄에 여러 개를 배치하게 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˙가로로 자동으로 정렬이 되면서, 기본적으로는 상하 마진을 가지지 못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˙기본 너비값은 컨텐츠의 너비값과 같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˙종류; span, a, small, em, b, br, audio, video, s, u, mark, q, strong, sup, sub, i, big, del, label이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★☆★☆ 블록 형식이든 인라인 형식이는 원래의 특성이 있으나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세로 정렬(한 줄에 한 개씩), 가로 정렬(한 줄에 여러 개)로 배치되는 스타일을  변경하기 원한다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둘 다 display속성을 이용해 배치되는 방식을 바꿀 수도 있다.

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→  인라인블록(inline-block)형 태그는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˙크기값을 지정할 수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˙한줄에 여러 개를 배치하게 된다.
                  ˙상하좌우 마진을  모두 가진다.
                  ˙기본 너비값은 컨텐츠의 너비값이 된다.
                  ˙종류; img, input, button, fontawesome icon이 있다.

 

★☆★☆ 어떤 태그이건 position: absolute 또는 fixed가 적용되면 인라인블록으로 변함.

 

  CSS의 가상 태그인 before와  after도 기본적으로 인라인형이다.

 

 

 <address>서울특별시 강서구 내발산동</address>

     <address>는 기본적으로 이탤릭체처럼 기울여 나오도록 실행된다.

 

 

 선택자를 사용하여 CSS스타일을 작성할 때,

article section {...} 이라고 하면

<article> 안(하위)에 있는 <section> 포함, 그 안(하위)에 모든 태그에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이다.

이 때 두 태그 사이에 스페이스(공백) 한 칸으로 두 태그의 관계인 상위와 하위를 나타낸다.

 

<소스 코드 속에서 살펴보기>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    <meta charset="UTF-8">
   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   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    <title>Document</title>
    <style>
                       /*  아이디선택자 => # 기호로 표시  */
        #tuna{
            color: blue;
        }

        /*  전체선택자 => * 로 표시  */
        *{
            color: green;
        }

        /*  태그선택자 => 태그 이름으로 표시 */
        li{
            color: red;
        }

        /* 선택자들을 구분해서 지정해줘야 하는 경우
             클래스 => 중복 가능, 재사용성 뛰어남
             아이디 => !! 중복 불가능, 한 문서 당 1번만 사용 가능   
        */

         /*  클래스선택자 => . 기호로 표시  */
        .food{
            color: black;
        }
</style>
</head>
 
<body>
    <h1>CSS</h1>
    <p>웹페이지를 꾸며주는 스타일 시트 언어</p>
    <ul>
        <li>CSS 기본구조</li>
        <li>CSS 선택자</li>
        <li>CSS 스타일</li>
    </ul>

    <h1 class="food" id="foodTitle">이번 주에 뭐먹지?</h1>
    <ul>
        <li class="food" id="salmon">연어</li>
        <li class="food" id="tuna">참치</li>
        <li class="food" id="salad">샐러드</li>
    </ul>
</body>
</html>
 
 
 
  추가 공부를 위한 검색어; 스타일시트 우선 순위, 스타일시트 명시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