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 commands
git remote add origin {원격저장소 주소}
git 명령어로 git과 연결되는 원격저장소를 생성(등록).
이름은 origin(통상적)이고, 주소는 { } 안의 주소.
git push origin main
git 명령어로 이름이 origin이라는 원격저장소의 main 브랜치에 업로드(push).
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input (macOS)
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 (Windows)
git이라는 명령어로 환경설정(config, configuration)을 해주는데 옵션(--)은 전역(global)에서 사용하도록 하고,
crlf(개행 문자, New Line) 설정을
운영체제에 따라 input이나 true로 설정해주면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게 등록.
cf. -(하이픈 1개)나 --(하이픈 2개)가 붙은 옵션은 플래그(flag)라고 한다.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'사용자 이름(원격 저장소에 등록된 이름과 동일하게 설정하기를 권장)'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'사용자 이메일(원격 저장소에 등록된 이메일과 동일하게 설정하기를 권장)'
커밋(버전 생성)을 위한 정보 등록.
커밋을 생성할 때마다 이 이메일 주소를 가진 사용자의 이름으로 생성되었음을 체크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됨.
git config --global --list
위에 내용들이 잘 설정되었는지 확인해볼 수 있음.
git init
현재 프로젝트에서 변경사항 추적(버전 관리)을 시작.
main이라는 브랜치에서 프로젝트가 시작 됨.
git add index.htmll
변경사항을 추적할/버전 관리를 시작할 특정 파일(index.html)을 지정.
폴더 안에 여러 파일이 있을 때, 여러 파일중에서 어떤 파일을 버전관리할지 지정 혹은 추적하도록 지정하는 과정.
모든 파일을 버전관리할거라면 add + 특정파일명이 아닌
add + . (반드시 공백하나 두고 온점)으로 명령
staging하는 과정/ git에 업로드하는 과정을 add 명령으로 실행.
add를 하고 나면 이 파일은 버전으로 만들 준비를 하고 있는 상태임.
git commit
git commit -m '메시지'
(-m 메시지와 함께; 버전 이름이나 변경내용 관련 등의 메모) 버전을 만들어 줌.
git push origin main
origin이라는 별칭의 원격 저장소로 mian이라는 브랜치를 밀어넣음(push), 즉 버전 내역을 전송.
이 버전 내역은 원격 저장소에 잘 저장되어있기 때문에,
내 로컬 저장소에 문제가 생겨 사용하지 못하게 되도,
원격 저장소로부터 다시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.
'컴퓨터 사이언스 > TIL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GS Day 05 (0) | 2022.07.01 |
---|---|
나의 첫 Hexo Blog ! (0) | 2022.07.01 |
Java (0) | 2022.06.30 |
MGS day 03 (0) | 2022.06.30 |
MGS Day 02 (0) | 2022.06.28 |